모트프랩 군용 무전기 제품디자인 진행

 모트프랩 군용 무전기 제품디자인 진행


군용 무전기 제품 디자인은 민수용 전자기기와는 완전히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특히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관점에서 보면, 단순히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임무 수행에 필요한 성능·내구성·인간공학·표준 규격까지 깊게 고려해야 합니다.

1. 리서치 & 요구사항 분석 단계


작전 환경 분석

사막, 정글, 산악, 해상, 혹한, 고온 등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 사용.
방수·방진 등급(MIL-STD-810G/H 기준)과 충격·진동 시험 요구사항 파악.

운용 부대 인터뷰

실제 사용자의 착용 위치(전투조끼, 헬멧, 차량 탑재 등)와 조작 습관 조사.
장갑 낀 상태, 야간(적외선), 소음 환경 등에서의 사용성 피드백 수집.

규격/법규 검토

군사 표준(미국 MIL-STD, NATO STANAG, 대한민국 군 규격 등) 분석.
주파수 보안, 암호화, 전자파 차폐(EMC/EMI) 관련 기준 반영.

2. 컨셉 디자인 단계


형태와 구조

불필요한 돌출부 최소화(작전 중 걸리거나 부러질 수 있음).
단순하고 직관적인 버튼·다이얼 배치.

휴대성과 인체공학

무게 중심 설계: 장시간 휴대 시 피로도 최소화.
한 손 조작 가능하도록 크기·무게 조정(장갑 착용 고려).

위장·식별성

야간/주야 위장색 적용 (OD 그린, 카키, 사막색, 암회색 등).
비상 상황 시 식별 가능한 마킹 또는 야광 요소 고려.

3. 설계 구체화 단계


내구성

알루미늄 합금, 충격 흡수 고무, 고강도 폴리머 등 소재 적용.
방진·방수 씰 구조 설계(IP67~68 수준).

조작성

버튼 높이·간격·터치감(클릭감)을 장갑 낀 상태에서도 인식 가능하게.
야간 조명(적색/녹색 LED) 적용 — 적외선 투시경에 간섭 최소화.

모듈성


안테나, 배터리, 액세서리 교체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구조.
다양한 통신 모듈(음성, 데이터, 암호화 모듈) 호환.

4. 프로토타입 & 테스트 단계


환경 테스트

온도(-40~+55℃), 습도, 진동, 낙하(1.5m 이상) 시험.
염수 분무 시험(해안·함정 사용 대비).

사용성 평가

실제 군인 피드백 반영: 전투/이동/탑승 상황에서의 조작성.
야간·소음 환경·긴급 상황 대응 시간 측정.

개선 반복

버튼 위치, 표시 각도, 액정 가독성, 배터리 교환 속도 등 반복 최적화.

5. 생산 & 품질 관리 단계


군납 품질 기준 준수

납품 전 100% 개별 검수(QA/QC).
모든 부품의 추적 가능성 확보(Serial Number, 제조 LOT 관리).

현장 수리 용이성

부품 모듈화로 현장에서 간단 교체 가능.


모티프랩 디자인 
www.motifdesign.kr

pdjeong@gmail.com